linux
-
[Linux] route 명령어리눅스(Linux) 2023. 5. 5. 17:19
route 유닉스 및 리눅스 초창기부터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를 출력하거나 관리하는 명령이다. 네트워크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하거나 설정할 때 사용한다. 앞으로 이 명령어도 ip 명령으로 대체된다. 사용법 route [add|del] [-destination] [netmask 값] [gw 값] [dev 인터페이스] [ route의 주요 항목 ] 항목 설명 Destination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를 나타낸다. default는 목적지 네트워크로 등록되지 않은 다른 모든 네트워크 주소를 처리하는 곳이다. 네트워크 주소는 IP 주소 할당법을 따르는데, 시스템의 주소가 192.168.1.1이고 넷마스크가 255.255.255.0이면 C 클래스이므로 네트워크 주소는 192.168.1.0이 된다. Gatew..
-
[Linux] ifconfig 명령어리눅스(Linux) 2023. 5. 5. 17:10
ifconfig(interface config) 유닉스 및 리눅스 초창기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거나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IP 주소, 넷마스크 주소, MAC 주소 등을 설정하고 확인할 수 있다. 앞으로 이 명령어는 ip 명령으로 대체된다. 사용법 ifconfig [interface] [address] [option] [ ifconfig의 주요 항목 ] 항목 설명 flag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UP :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어 있음 BROADCAST :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함 RUNNING : 인터페이스가 동작중임을 나타냄 MULTICAST : 멀티캐스트를 사용함 mtu Maximum Transmission Unit의 약자로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최대 패킷의 크기를 나타..
-
[Linux] Shell의 종류리눅스(Linux) 2023. 5. 4. 21:09
셸(Shell)이란? 커널(Kernel)과 사용자간의 다리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그것을 해석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역할을 함. 주요 셸(Shell)의 특징 셸 특징 Bourne Shell 1977년 AT&T 벨 연구소에 근무하는 스티븐 본(Stephen Bourne)이 개발한 유닉스 버전 7의 기본 셸 bash 1989년 브라이언 폭스(Brian Fox)가 GNU 프로젝트를 위해 개발한 배시셸(Bourne Again Shell, bash)은 본 셸을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졌다. GNU 운영체제, 리눅스, 맥 OS X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 중이며 현재 리눅스의 표준 셸이다. bash의 명령어 문법은 sh와 호환되고, ksh와 csh의 유용한 기능을 참고하여 명령 히스토리, 명령..
-
[Linux] 리눅스 파일 시스템(File System)리눅스(Linux) 2023. 5. 4. 16:06
파일 시스템 특징 minix 1987년에 개발된 minix 파일 시스템은 Minix 운영체제에 사용된 파일 시스템으로 초기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모태가 되었다. 파티션 사이즈가 64MB로 제한이 있고, 파일 이름도 14자까지만 지원되었다. 또한 단일 타임스탬프(Timestamp) 체제였다. 주로 램 디스크나 부팅 디스크에 이용되었다. ext 1992년 4월에 등장한 파일 시스템으로 전통적인 유닉스 파일 시스템인 UFS 구조를 기반으로 Minix 파일 시스템의 최대 파티션 크기와 파일 이름 제한을 개선해 2GB의 데이터와 파일명을 255자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파일 접근에 대한 타임스탬프, 아이노드 수정 등을 지원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ext2 1993년 1월에 개발한 파일 시스템으로 ext 파..
-
[Linux] 리눅스 디렉터리 구조리눅스(Linux) 2023. 5. 3. 21:25
/bin : 일반적으로 bin은 binary의 약자로 실행 파일들이 위치해 있다. 대표적인 명령어인 cp, mkdir, rmdir, mv, cat 등이 이 디렉터리에 있다. /boot : 부팅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등 시스템 부팅 시 필요한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 /dev : device의 약자로 하드 디스크, CD-ROM, 터미널 등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 장치 등을 파일화해 관리하는 디렉터리 /etc :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 및 부팅과 관련된 여러 가지 스크립트 파일들이 들어 있음. /home : 개인 사용자들이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는 홈 디렉터리가 위치해 있다. /lib : library의 약자로 각종 라이브러리와 커널 모듈이 위치해 있다. /lib64 : 64비트..
-
[Linux] Rocky Linux 고정IP 할당리눅스(Linux) 2023. 5. 1. 17:00
VMware Fusion / Rocky8 조합으로 리눅스를 올렸을 때는 별도의 고정IP 설정 없이도 IP 변동 없이 잘 이용했었다. 근데 또 VMware Fusion / Ubuntu22.04 조합으로 리눅스를 올렸을 때는 IP가 변동되어서 직접 고정IP 설정을 해줬다. 생각을 해보니까 Rocky Linux를 설치할 때는 설치 초반에 네트워크 설정을 잡아주고 설치를 진행해서 그 차이 때문인가 생각했다. 하지만 VMware Fusion이 아닌 VirtualBox라는 버추얼머신으로 Rocky Linux를 설치하니까 IP 변동현상이 발생했다. 버추얼머신 차이에 따른 문제인지 리눅스 계열에 따른 문제인지 조금 더 공부를 해봐야할거 같다. (참고로 리눅스 설치 파일은 동일한 iso 파일을 사용했다.) 각설하고 Ro..
-
[Linux] VirtualBox 리눅스 기동 시 SSH 접속 안될 때리눅스(Linux) 2023. 4. 30. 21:01
SSH 접속을 위한 기본 설치 사항 1. openssh-server 설치 sudo yum install openssh-server 위 명령어를 사용해 openssh-server를 설치한다. (상단 이미지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 sudo systemctl status sshd 위 명령어를 사용해 sshd 상태를 확인 inactive(dead) 상태일 경우 sudo systemctl start sshd 명령어를 사용해 sshd를 활성화해 줌 2. 아래의 방법1 또는 방법2 진행 방법 1) 포트 포워딩 1. 로컬PC와 VirtualBox의 리눅스 IP 주소 확인 로컬PC에서 ifconfig 명령어를 사용해 ip를 확인(window OS 경우 ipconfig) en0 항목의 inet 부분을 보면 된다. 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