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n : 일반적으로 bin은 binary의 약자로 실행 파일들이 위치해 있다. 대표적인 명령어인 cp, mkdir, rmdir, mv, cat 등이 이 디렉터리에 있다.
/boot : 부팅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등 시스템 부팅 시 필요한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
/dev : device의 약자로 하드 디스크, CD-ROM, 터미널 등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 장치 등을 파일화해 관리하는 디렉터리
/etc :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 및 부팅과 관련된 여러 가지 스크립트 파일들이 들어 있음.
/home : 개인 사용자들이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는 홈 디렉터리가 위치해 있다.
/lib : library의 약자로 각종 라이브러리와 커널 모듈이 위치해 있다.
/lib64 : 64비트용 리눅스(x86_64)를 설치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디렉터리. 64비트 기반의 라이브러리가 위치해 있다.
/media : 이동식 장치인 cdrom, floppy 등을 마운트하기 위해 제공되는 디렉터리
/mnt : mount의 약자로 CD-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등을 마운트할 때 포인터가 되는 디렉터리. 최근 리눅스 버전에서는 마운트할 장치가 늘어남에 따라 /media, /net 등을 추가로 제공하고 있다.
/opt : optional의 약자로 응용 프로그램들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디렉터리
/proc : process의 약자로 가상 파일 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의 상태 정보, 하드웨어 정보, 기타 시스템 정보 등을 담고 있다.
/root : 시스템 관리자인 root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run : 부팅 이후에 동작중인 프로세스의 런타임(Runtime)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디렉터리
/sbin : System Binary의 약자로 주로 시스템 관리에 대한 실행 파일들이 위치해 있다. 보통 슈퍼유저인 root가 사용한다. 시스템 종료 명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명령, 시스템 점검과 복구 등의 명령어들이 들어 있다.
/srv : served의 약자로 사이트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렉터리
/sys : system의 약자로 가상 파일 시스템인 sysfs에서 사용하는 디렉터리로 USB처럼 hot plug 하드웨어 정보를 가지고 있는 디렉터리. /proc 디렉터리에서 기본적인 하드웨어 정보를 제공하나 이 디렉터리에서는 계층적인 구조로 정보를 제공함.
/tmp : temporary의 약자로 임시 저장 디렉터리이다. 각종 프로그램이나 소켓 파일, 프로세스 작업을 할 때 임시로 생성되는 파일들을 저장하는 공간이다. 보통 이 디렉터리는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usr : user의 약자로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명령, 응용 프로그램들이 위치해 있다. 커널소스, C 언어 헤더 파일, C-컴파일러와 같은 개발 도구, X-window, 리눅스에서 서버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아파치나 mysql, php 등이 모두 이 디렉터리 하위 디렉터리에 설치됨.
/var : variable의 약자로 시스템 운영 로그(log) 파일과 스풀링(spooling)과 같은 가변적인 데이터를 보관하는 디렉터리이다. 메일 서버로 운영하는 경우 도착한 메일이 이 디렉터리 하위 디렉터리에 존재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