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Linux] route 명령어
    리눅스(Linux) 2023. 5. 5. 17:19

    route

    유닉스 및 리눅스 초창기부터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를 출력하거나 관리하는 명령이다. 네트워크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하거나 설정할 때 사용한다. 앞으로 이 명령어도 ip 명령으로 대체된다.

     

    사용법

    route [add|del] [-destination] [netmask 값] [gw 값] [dev 인터페이스]

     

    [ route의 주요 항목 ]

    항목 설명
    Destination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를 나타낸다. default는 목적지 네트워크로 등록되지 않은 다른 모든 네트워크 주소를 처리하는 곳이다. 네트워크 주소는 IP 주소 할당법을 따르는데, 시스템의 주소가 192.168.1.1이고 넷마스크가 255.255.255.0이면 C 클래스이므로 네트워크 주소는 192.168.1.0이 된다.
    Gateway 목적지 주소로 보내기 위한 게이트웨이 주소를 가리킨다. 보통 목적지가 자신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이면 '*'로 표시되고 그렇지 않으면 게이트웨이의 IP 주소가 입력된다.
    Genmask 목적지의 네트워크 주소를 알아내기 위한 넷마스크이다. IP 주소에 Netmask를 AND연산자로 계산하면 목적지의 네트워크 주소를 알 수 있다.
    Flags 목적지 네트워크와의 연결 상태를 주는데, 표시되는 기호는 다음과 같다.
    U :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G : 라우트가 게이트웨이로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H : 오직 단독 호스트만이 라우트를 거쳐서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루프백 엔트리는 127.0.0.1이 된다.
    D : 테이블 엔트리가 설정된 경우, ICMP 리다이렉트 메시지로 운영된다.
    M : 테이블 엔트리가 설정된 경우, ICMP 리다이렉트 메시지에 의해 수정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Metric 목적지 네트워크와의 거리(Hop Count)를 나타낸다. 직접 연결되어 있으면 0이고 라우터를 하나 거칠 때마다 1씩 증가한다.
    Ref 다른 라우터가 목적지로 가기 위해 참조한 횟수를 나타낸다.
    Use 다른 라우터가 목적지로 가기 위해 사용한 횟수를 나타낸다.
    Iface 목적지 네트워크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사용자 패스워드 관련 명령어(chage/passwd/usermod)  (0) 2023.05.05
    [Linux] ifconfig 명령어  (0) 2023.05.05
    [Linux] ip 명령어  (0) 2023.05.05
    [Linux] 네트워크 하드웨어  (0) 2023.05.05
    [Linux] Shell의 종류  (0) 2023.05.04

    댓글

Designed by Tistory.